본문 바로가기

기관·단체뉴스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 방식 의혹 제기

2차 용역결과 ‘분산형’무시, 정부가 ‘집적형’ 결정

 

정부가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 방식에 대해 2차용역결과 나온 원주에 유리한 분산형을 무시하고 집적형으로 결정했다는 의혹이 국회에서 공식 제기됐다.

한나라당 이계진 국회의원은 5일 국회 대정부질문에 나서“지난해 6월4일 제5차 의료산업선진화위원회에서 발표된 의료기기·제약·의료서비스 등 3개 분야를 분산형으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2차 용역 결과를 전면 무시하고 한 곳에 모으는 집적방식으로 결정했다”고 주장했다.

이같은 주장에는 첨단의료복합단지가 분산형 단지로 추진될 경우 의료기기산업 인프라의 강점을 가진 원주가 유리하다는 점을 의식해 정부가 특정 일부 지역으로 ‘몰아주기’를 하기 위해 집적형으로 결정했다는 것이다.

이 의원은 또 “당시 제5차 의료산업선진화위원회의에 참석한 민간위원들에 따르면 정부는 집적형에 대한 여러 위원들의 반대의견에도 불구하고 안건통과를 일방적으로 몰아붙였다”며 강하게 언급한 뒤 “정부는 이 같이 중요한 정부위원회 회의록마저 조작하는 등 비정상적 절차에 의한 결정을 은폐하려 하고 있다”고 정부를 비판했다.

이에따라 이계진 의원은 “이런 갖가지 의혹에 대해 총리실과 감사원 차원에서 철저한 진상조사가 이뤄져야 하고 비상식적인 결정 역시 원인무효로 원점에서 (첨단의료복합단지 단지 조성방식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같은 이계진 의원의 주장에 대해 한승수 총리는 “(단지조성의)집단화 결정 과정에 문제가 있었다면 철저히 조사하겠다”고 밝혔다.

첨단의료복합단지는 앞으로 30년 동안 5조 6천억, 초기 3년 동안 1조 2천억 원이 투자되는 사업으로 원주 등 전국에 11개 시. 도가 치열한 유치경쟁을 벌이고 있다.

더욱이 첨단의료복합단지의 조성방식이 어떻게 결정되느냐에 따라 입지 조건이 달라질 수 있어 이번 이계진 의원의 정부의 개입의혹제기는 영향이 클 수 밖에 없다. 2차 연구용역 결과 대로 첨단의료 복합단지를 분산할 경우 그동안 의료기기산업을 육성해온 원주시는 의료기기 분야의 유치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