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행정·의회

정선군, 천연기념물 화암동굴 가치 높이기 위한 종합학술조사 연구용역

정선군은 천연기념물(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된 정선 화암동굴의 학술적·자연유산적 가치를 높여나가기 위해 종합학술조사 연구용역을 진행하고 있다.

 

정선 화암동굴 종합학술조사 연구용역은 문화재청의 천연동굴 보존관리 지침에 의거 국가 및 시도지정문화재로 지정된 동굴에 대하여 10년마다 1회 종합학술조사를 실시해야 함에 따라 문화재청 국고보조사업으로 지난 20227월부터 추진하고 있으며, 연구 수행은 사단법인 한국동굴연구소(대표 최기주)가 맡았다.

 

이번 연구용역은 화암동굴의 종합적인 자료 확보를 위해 동굴 현황, 위치도 및 측량도, 동굴 내 미지형, 생성물, 생물, 퇴적물 조사 및 지질지형과 동굴과의 관계 등을 포함한 환경 등에 대한 조사가 진행된다.

 

이에 군은 지난 331일 군청 소회의실에서 연구용역 중간보고회를 개최하고 자연유산으로서 동굴의 지속적인 보전과 관리, 교육적 활용방안 모색과 함께 추가 조사계획과 문화재적 가치에 대하여 공유하고 향후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번 중간보고회를 통해 앞으로 군에서는 종합학술조사 연구용역에 대한 문제점을 보완하고 오는 9월 최종보고회를 거쳐 연구용역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화암면에 위치한 화암동굴은 19343월 천포광산 갱도 작업 중 발견되었으며, 1980226일 강원도기념물로 지정관리되어 왔다. 1993년 처음 대중에게 개방된 공개동굴로 정선군 대표 문화재이자 관광명소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화암동굴은 내부에 발달한 대형 석순, 석주, 종유석, 곡석은 물론 미공개구간의 석화 등이 국내 다른 석회동굴의 생성물과는 구별되는 독특한 모양과 색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학술적자연유산적 가치를 인정받아 2019111일 국가지정문화재(천연기념물)로 지정 승격됐다.

 

김재성 문화체육과장은 화암동굴의 전체적인 규모와 상세한 동굴발달 등에 대한 화암동굴 종합학술조사 연구용역을 통해 학술자연유산적 가치도 높여 나가는 것은 물론 화암동굴의 체계적인 보존관리로 더욱 많은 관람객들이 찾을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