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기자실을 폐쇄하고 브리핑 룸으로 조성해 모든 사람들이 공유할 수 있는 장소로 활용되고 있다는 일반의 생각과는 달리 아직도 많은 자치단체들이 폐쇄적인 기자실 사용을 묵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행태는 극히 일부 시.군에서 기자회견장 성격의 브리핑룸으로 활용하고 있고 나머지 시.군에서는 프레스 룸이나 브리핑 룸 등의 간판만 걸고 기자실 혹은 흡연실로 이용하는 곳이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브리핑 룸이 옛 모습의 기자실로 활용되다보니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춘천시는 유리창의 선팅을 없애고, 공보담당 뒤편 공간과 바깥 출입문 사이에 15평 남짓한 브리핑룸을 조성했다. 회견대 뒷쪽에 시청 마크를 부착해 회견장화 했으며 회견대에는 마이크를 마련해 놓고 중앙에는 소형테이블과 쇼파를 설치, 기자들이 자유롭게 기록하고 질문을 할 수 있게 했다.
원주시는 회견장소를 창가에 2개의 책상만 설치했을 뿐 일선 기자들은 회견때만 출입하거나 티테이블에서 차를 마신 후 현장에 나가고 있다. 그러나 원주시 브리핑룸의 경우 회견실은 갖춰져 있는 반면, 특정 언론사의 테이블로 변모해 가고 있어 일부 공무원들도 불편해 하고 있다. 춘천시와 원주시 브리핑룸의 경우 항상 열려 있도록 하고 있어 시민사회단체들의 기자회견장소로 수시 이용되고 있다.
프레스룸이나 브리핑룸은 자치단체가 기자들의 편의를 위해 기사송고를 할 수 있는 공간이지, 기자들이 상주하면서 담배를 피우고 시간을 보내는 휴게실이 아니라는 지적이다. 관청의 흡연실은 복도 끝 외부에 설치돼 있으며 이를 조례화해 지키고 있다. 즉, 관공서가 기자실을 운영하면서 이를 묵인해 주고 있다.
하지만 이들 몇몇 자치단체를 제외하고는 대다수의 중소도시 브리핑룸은 예전의 기자실화 되어가고 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이들 브리핑룸은 관공서에서 임대료 등을 받지 않고 무상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일부 몇몇 언론사는 개인 노트북이나 컴퓨터를 설치하고 개인 사무실로 사용하며 일부 공무원과 외부인사들이 들러서 흡연하는 장소로 변질되고 있다.
노무현 정부는 “기자실의 문제점이 많아 정부산하 각 공공기관의 기자실을 폐쇄한다”고 밝혀 일부 보수언론들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기자실의 문제점인 흡연실화 문제와 일부 특정언론사 기자들만의 공간으로 변해 본래 목적인 기자회견 장소로만 활용하자는 취지였다. 그러나 현 정부들어서는 이같은 브리핑룸 제도 자체가 무색해지고 있다. 겉으로만 브리핑룸이지, 실제로는 흡연할 수 있는 공간과 폐쇄적인 옛 모습의 ‘기자실’이 되고 있는 셈이다.
'하나리포터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백, 다문화 정보센터 만든다 (0) | 2010.07.07 |
---|---|
강원남부 폐광지역에서 경견장 준비한다 (0) | 2010.04.26 |
태백시민연대, 최영 사장 ‘도지사 후보사퇴 관련 질의’ 공문 발송 (0) | 2010.03.30 |
광동댐 보조취수원 사업 놓고 ‘주민 반발’ (0) | 2010.03.29 |
마음껏 즐겨라! 강원도 글로벌 겨울축제 (0) | 2010.01.09 |